귀주성 소수민족 건축특징
관리자 조회 : 406
2023-08-18

 

귀주성 소수민족 건축특징

소수민족 건축은 색채가 알록달록한 귀주성의 풍정화(風情畵)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 부분 중 하나로 소수민족의 문화가 선명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귀주성 소수민족의 건축특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묘족

묘족의 대다수는 산간 지역에 거주하고, 소수는 산간 평활한 곳에 거주합니다. 주택의 형식은 각지에서 다르며 검동남, 호남성 남부지역, 사천성 동부, 광서성 계림 북부의 묘족 주택은 단독주택과 빌딩 두 종류가 있습니다. 경사가 비교적 큰 산비탈에는 대부분 조각루(吊脚樓)를 짓습니다.   

묘족 민가 건축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검동지역은 주로 목재 구조의 건란식(乾欄式) 건물입니다. 호남성 서쪽지역과 귀주성 송도(松桃) 등지에서는 주로 기와와 나무 혹은 벽돌과 나무로 단층집을 구성합니다. 귀주성 중부 지역은 대부분 목조 주택입니다. 검서북지역과 운남동북지역은 주로 토목이나 초목으로 구성된 단층집입니다. 이런 유형들은 지역에 따라 적절하게 제작되고 현지에서 재료를 취하여 조성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이족(布衣族)

부이족이 거주하는 특징은 산과 물을 끼고 모여 사는 것입니다. 마을은 주로 평패(平坝), 하천이 흐르는 골짜기 또는 산과 강물을 끼고 있는 곳에 세워져 있으며, 강과 시냇가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드뭅니다. 마을은 산을 따라 건설하여 평지 경작지를 점용하는 것을 피하고 홍수와 침수 재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강을 따라 사는 것은 벼 재배를 위주로 하는 생존 방식에 의해 결정되였습니다.

이렇게 부이족 마을의 비교적 전형적인 지리적 특징인 산을등지고, 강을 바라보며, 논밭에 유리하며, 환수를 형성했습니다.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부이족의 건축도 끊임없이 변화했습니다. 주로 건란식 건축, 개조형 건란건축, 단층집, 석판방 네 가지 형식이 있는데 목구조, 목석구조, 토목구조와 돌구조가 있습니다.

 

동족(侗族)

동족의 거주 환경도 대부분이 산과 물을 끼고 있습니다. 마을은 모두 시냇가, 평지, 또는 산기슭에 세워져 있습니다. 마을에는 고루(鼓樓)가 우뚝 솟아 있고 마을 주변의 고목은 그늘이 짙고 화교(花橋)는 흐르는 물을 가로지르며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동족은 대부분 목루에 거주합니다. 집은 '상동하우(上棟下宇)'식 나무집에 속합니다. 일반적으로 세 개의 기둥 또는 다섯 개의 기둥을 세워지는데 동채(侗寨)에서는 고루를 많이 짓습니다.

고루는 동족 마을의 독특한 표지이고 동족 군중들이 모여 회의를하는 중심 장소입니다. 명절 집회에서 고루는 또 동족대가(侗族大歌)를 부르는 곳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성씨의 동족들이 하나의 고루를 짓고, 어떤 마을은 네다섯 성씨가 모여 네다섯 개의 고루를 짓습니다.

동족의 장랑(長廊), 풍우교(風雨橋)와 화교(花橋)도 민족 전통 건축 예술의 보물입니다. 풍우교는 주로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시냇물 위에 세워져 동채에 풍채를 더할 뿐만 아니라 마을의 길상(吉祥)을 뜻합니다.

 

토가족(土家族)

토가족의 주택 건축은 토사 시기에 명확한 규정을 가지있었는데 토사가 거주는 곳은 화려하고 웅장하며 벽돌과 기와가 비늘처럼 늘어서 기둥에 대들보를 조각하는데 매우 화려합니다. 그 부하 관리의 거처는 기둥을 세우고 주위는 판벽으로 할 수 있으나 기와를 덮어서는 않됩니다. 일반 토가족 주민들은 나무를 잘라서 집을 짓고 대나무로 벽을 만들고 나무 껍질이나 초가로 집을 지을 수밖에 없습니다. 만약 기와를 짓는 자가 있다면 모두 유월(逾越)의 죄로 다스렸습니다. 이런 규정들은 농노 사회의 등급 제도가 주택 건축에 반영된 것입니다. 주택 건축의 등급제는 토가족 거주 문화의 첫 번째 특징입니다.

이족(彛族)

대분산(大分散), 소취거(小聚居)는 이족 거주의 주요 특징입니다. 이족의 마을은 주로 해발 2000~3000미터의 산간 지역, 반산간 지역에 모여살며 일반적으로 양산 기슭을 선택하고 산을 따라 건설합니다. 산허리에 많고 산기슭, 하곡 지대에는 비교적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