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족 은장식 단조 기예
관리자 조회 : 58
2022-12-14

묘족 은장식 단조 기예

묘족은장식은 묘족의 중요한 장식품으로서
독특한 조형풍격으로 묘족복장의 매력을 과시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되였으며
풍부한 묘족사회문화적의의를 표현하고있습니다.
또한 묘족 은장식은 묘족재부의 상징으로서 품종이 많고 조형이 크며
은함량이 무거운 특징이 있는데 이로부터 묘족의 독특한 은장식 단조기예를 탄생시켜
많은 묘족 은장인을 이룩하였습니다.


2006년이래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검동남주 뇌산(雷山), 황평(黄平), 태강(台江), 검하(剑河) 등
4개 현이 신고한 ≪ 묘족은장식단조기예(苗族银饰锻制技艺) ≫는 선후로
제1차, 제2차, 제3차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의 대표항목명부에 올랐습니다.
검동남주 묘족의 은장식전통공예수준이 아주 높습니다.
은공예는 먼저 정련된 은을 얇은 박편, 은괴 또는 은사로 만들고
압축, 조각, 뚫는 등 공예를 잉용하여 정교한 무늬를 제조한 후
다시 용접하거나 짜서 모양이 형성됩니다.
공정이 비교적 많은데 용해, 주모, 단련, 줄갈이, 견사, 비비기, 실꼬기, 엮기,
압모, 조각, 뚫기, 용접, 광택, 상감, 세척 등 절차를 포함합니다.
묘족 은 장식 단조는 거친 가공과 정밀 가공의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거친 가공은 은을 다양한 무늬 패턴의 초기 모양으로 두드리는 것입니다.
정밀 가공은 단조 기술의 핵심이며 묘족 은장인은 민족의 전통 습관과
미적 취향에 따라 세부 사항이나 부분 묘사에 중점을 둡니다.
공예의 정교함은 묘족 은장식을 나날이 완벽해지게 합니다.
그 중 참각, 인장, 늘이기, 비비기, 줄세공, 새기기, 상감 및 용접은
비교적 중요한 기술 연결 고리입니다.

참감(錾刻): 은 장식의 초기 모양을 송향으로 고정하고
금속 각도(刻刀)를 사용하여 다양한 패턴을 수동으로 새깁니다.
라인이 매끄럽고 순서가 명확하며 단계가 명확하고 각인이 제대로 잡힙니다.
은사(拉丝): 단조된 은괴를 다양한 규격의 은사로 당겨주는데
인출된 은사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고르게 당겨야 합니다.
먼저 얇은 은괴를 끌로 뾰족하게 만든 다음 은사판 구멍에 꿰어넣고
반복적으로 당겨서 은사를 빼냅니다.


은사제조판은 일반적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52개의 눈구멍으로 나뉘며,
은괴가 반복으로 52회 지나가면 직경은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일한 굵기로 변합니다.
차사(搓丝): 제조된 가는 은사를 함께 놓고 나무 롤러를 사용하여 은사 실을 함께 문지릅니다.
은사는 촘촘하고 균일하며 독특한 질감과 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겹사(掐丝): 패턴에 따라 손가락이나 핀셋을 사용하여 문지른 은사를
다른 모양으로 잘라내고 미리 만들어진 은사 프레임에 삽입하며
이 과정에서 공정 요구 사항은 상당히 정교합니다.
은장인은 틀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마음속으로 상상하여
단숨에 완성하고, 문양이 정확하고 매끄럽습니다.
전루(镌镂): 조각 후 남은 공간을 조각 칼로 잘라 제거합니다.


상감(镶嵌): 미리 수공으로 다듬은 은구슬을 상감이 필요한 위치에 놓고
용접건으로 전체적으로 열을 가합니다.
이 공정은 온도를 엄격하게 제어해야 하며 온도가 높으면 은사가 쉽게 녹고 끊어지며
온도가 낮으면 상감이 견고하지 않습니다.
상감에 사용되는 재료는 은 부품 외에도 다양한 옥, 에메랄드, 진주, 상아 등 10가지가 넘습니다.
납땜(焊花): 묘족 은 장식의 납땜 공정은 매우 정교하며 얇은 구리 송풍관을 사용하여
등유 램프의 화염을 산소로 불어 관련 부품의 결합 부분을 녹이고 용접합니다.
용접점이 매끄럽고 흔적이 남지 않습니다.

 
묘족 은장식 단조는 은장인이 작은공간에서 단조를 수행하며
은장식 품질의 핵심은 정밀가공에 있으며 은장인의 은장식 단조기술 수준을 반영합니다.
정교한 은장신구는 사람들에게 화려하고 다채로운 은장식 예술세계를 보여주고 민족의 풍부한 정신문화를 보여줍니다.
검동남주 묘족 은장식은 주로 은각(银角), 은작(银雀), 은비녀(银簪), 은빗(银梳),
은두위(银头围), 은두화(银头花), 은깃털(银羽), 귀주(耳柱), 귀걸이(耳环),
목걸이(项圈), 은체인(银链), 가배찌(胸锁), 팔찌(手圈), 은옷편(银衣片),
은포(银泡) 등 종류가 다양하며 문양이 고풍스럽고 모양이 독특하며
특히 은각, 은관, 은화가 매우 특징적입니다.
은각은 크기가 다르며 착용자의 키의 절반에 달할 수 있으며
묘족이 소를 숭배하는 의미가 있어 묘족의 토템 의식을 전달합니다.
뇌산묘족도 은관을 '마두모(马头帽”)'라고 부르는데
무사가 말을 타고 출정하는 모습이 단조된 은관은
묘족의 역사적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황평 묘족의 은관은 은꽃으로 둘러싸여 있고
곤충과 새가 있어 묘족이 생존하는 자연환경을 보여주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생존상태를 보여줍니다.

 
묘족의 모든 은 장신구에는 묘족의 토템과 족휘(族徽)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묘족의 농경문명, 묘족의 전투와 이동, 묘족의 실패와 다시 일어남을 기록했습니다.
바로 검동남주 묘족 은장식이 너무 많은 묘족의 역사와 문화 정보를 침전시키고,
묘족 사람들의 빛나는 역사에 대한 기억과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침전시키고,
묘족의 너무 많은 고난 경험과 강인한 불굴의 정신을 침전시켜
검동남 묘족 은장식을 묘족 역사 문화의 '문서 보관소(档案馆)'로 만들어
묘족의 '아름다운 마음으로 고난에 직면'하는 문화적 인격의 가장 좋은 주자가 되었습니다.